유기고분자화학(Polymer Chemistry) 유기소재의 기본적 화학 및 합성기초를 학습하고, 화학적 구조-성질의 관계와 반응기구를 이해한다.
고분자가공(Polymer Procwssing) 고분자는 다양한 가공방법으로 형상화한다. 형상화된 재료의 특성은 가공방법 및 가공조건에 따라 크게 변화하는데, 본 강좌에서는 최적의 특성 발현을 위한 가공-구조-물성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강의한다.
고분자물리(Polymeric physics) 본 교과에서는 고분자의 열역학적인 거동을 기초로 하여, 고분자 사슬의 연쇄구조, 형태 및 크기의 결정방법, 고분자 용액의 열역학, 고분자 분자량 개념, 평균분자량의 측정방법, 상분리 거동, 다성분계 고분자 시스템 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고분자분석(Polymer Analysis) 고분자소재의 분석이론과 분석방법을 학습하고, 고분자의 화학적 구조와 특성을 실제 분석결과로 해석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고분자재료실험I(Polymeric materials Testing and Practice 1) 고분자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인장시험, 충격시험, 굽힘시험, 경도시험과 자분탐상, 침투탐상, 초음파탐상 등 각종 재료시험법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와 응용에 대하여 배운다. 이 과정을 이수하게 되면, 주어진 표준에 따라 시험편의 준비와 테스트를 위한 절차서와 작업지시서 등을 스스로 작성 할 수 있게 된다.
고분자재료실험II(Polymeric materials Testing and Practice 2) 고분자 재료의 열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유리전이온도점, 융점, 멜트인덱스, 열분해온도, 연화점 및 비열량 등 각종 열적 재료시험법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와 응용에 대하여 배운다. 이 과정을 이수하게 되면, 주어진 표준에 따라 시험편의 준비와 테스트를 위한 절차서와 작업지시서 등을 스스로 작성 할 수 있게 된다.
고분자전자소재(Electronic Polymers) 다양한 고분자의 전기적 특성발현 원리를 학습하고, 전자소재로의 응용기술을 소개한다.
고분자합성(Polymeric synthesis) 본 교과에서는 고분자화학의 원리, 각종 중합 반응의 반응속도 및 반응기구, 고분자의 합성법 등을 강의하며 계단중합, 공중합, 개환중합, 입체특이성중합, 고분자의 반응 등을 포함한다.
고분자환경기술(Polymeric synthesis) 본 교과에서는 고분자화학의 원리, 각종 중합 반응의 반응속도 및 반응기구, 고분자의 합성법 등을 강의하며 계단중합, 공중합, 개환중합, 입체특이성중합, 고분자의 반응 등을 포함한다.
기능성고분자가공(Functional Polymer Processing) 고분자 및 유기물 기능소재 분야의 산업체 전문가로부터 산업현장의 실무적인 최신소재가공기술을 배운다. 제조현장의 공정기술과 전공이론지식의 관련성을 이해한다. 본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유기 및 고분자소재가공의 현장실무능력을 배양한다.
복합소재공학(Composite Materials Engineering) 고분자 복합소재의 기초와 미세구조와 성질간의 관계를 학습하고 다양한 응용기술을 소개한다.
복합소재응용(Composite Materials Engineering) 고분자 복합소재의 기초와 미세구조와 성질간의 관계를 학습하고 다양한 응용기술을 소개한다.
분리소재공학(Material engineering for separation) 본 교과에서는 상용화된 분리 고분자소재의 제조원리에 관하여 강의되어 지고, 특히 산업체전문가의 조력을 통하여 제조방법의 원리를 터득하고 설계하게 된다.
수처리재료공학(Material engineering for water treatment) 본 교과에서는 수강생이 산업현장에 있어서 수처리에 사용되는 고분자의 합성기술 및 공정프로세스를 적용기술을 이해하고 실직적인 설계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에너지재료(Materials for energy generation) 에너지분야의 재료와 소자와 관련된 원리에 대해 이해하고, 응용을 배운다. 특히 태양전지재료 및 원리, 연료전지 기초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재료를 에너지절약형 관점에서 깊게 토론될 것이다.
유무기혼성소재(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유기 및 무기소재의 혼성화합물의 제조와 특성에 대해 학습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재의 응용을 소개한다.
전공캡스톤디자인(Major capstone design) 고분자소재공학에서 재료설계와 응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팀구성원들이 협력하여 기존의 지식들을 활용하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팀구성원들은 설계의 필요조건에 맞추어 시스템, 요소, 공정 등의 과정을 전 학년에 걸쳐 배운 지식을 동원하여 최적의 설계를 수행한다.
코팅및박막소재(Coating and Thin Film Materials) 고분자소재의 코팅 및 박막가공 공정의 기초를 학습하고, 고분자코팅과 박막의 분석기술을 소개한다.
플라스틱공학(Plastic engineering) 본 교과에서는 현재 상용화 되있는 범용성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공업적 제조방법과 특성에 대하여 강의한다.
도료및접착재료공학(Engineering of paint and adhesives) 본 교과에서는 수강생이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페인트와 접착제에 사용되는 고분자의 합성기술 및 적용기술을 이해할 수 있다.
전도성고분자응용기술(The Application of Conducting Polymers) 유기 및 고분자소재에 관한 기본전공교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도성 유기고분자 소재의 특성과 응용에 대해 학습한다. 전도성소재의 합성과 특성을 포함한 실제 산업적 활용에 대해 체계적으로 배우고, 전기전자 공학기술과의 융합에 의한 산업기술 활용에 대해 학습한다.
창의캡스톤디자인(Creative Capstone Design) 고분자소재공학에서 재료설계와 응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팀구성원들이 협력하여 기존의 지식들을 활용하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팀구성원들은 설계의 필요조건에 맞추어 시스템, 요소, 공정 등의 과정을 전 학년에 걸쳐 배운 지식을 동원하여 최적의 설계를 수행한다.
유변학(Rheology) 유변학은 측정 시간(및 온도)과 변형 정도를 바꿔 가면서 조건의 변화에 따라 물체가 거기에 응답하는 방식의 변화 (강도, 점도 등)을 정량적으로 연구한다. 결국 변형력과 변형률의 관계를 관찰하며 이 둘의 비율은 탄성률 또는 순응률이며 변형률 대신 그 시간 미분을 사용하면 점도가 된다. 탄성률은 주로 고체의 거동을 묘사하는 데 쓰이며, 점도는 주로 액체의 거동을 묘사한다. 여기서 시간 경과에 따라 시편이 늘어나는 것을 이론/정량적으로 다루는 것이 유변학이다.
형태학(Morphology) 형태학은 화학적 조성에 의한 분류와는 별도로 고분자는 그들의 고체상태에서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결정성 고분자 또는 비결정성 고분자로 분류되며 또한 고분자를 구성하는 화학적 조성 및 분자수준에서의 구조적 제어에 따른 고분자의 형태는 그들의 물리적 상태를 결정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자연히 결정성 고분자를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의 구조적 양상은 가공을 통한 최종 고분자 제품의 특성 발현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러한 결정형성의 구조적요건, 결정형성과정 및 결정형태를 관찰하는 학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