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isure & Sport Science
세계화에 따른 21세기
새로운(New) 레저문화를 선도할 레저스포츠 전문인력 양성
- 레저스포츠학과 전공 분류는
- 산업사회의 발달과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 향상으로 늘어나는 여가시간을 보다 건설적이고 창조적인 활동으로 유지하고자 전문적 지식과 실기능력을 갖춘 유능한 레저스포츠지도자(해양스포츠, 피트니스, 생활스포츠)를 양성하며, 정보화 사회를 앞서가는 레저스포츠산업전문가(레저스포츠경영, 레저스포츠관광)를 선도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을 교육목표로 합니다.
레저스포츠학과 전공별에 따른 학년별 단계역량개발 관리모형
수준에 맞는 맞춤형 준비단계 | 학년별 단계별 역량개발 및 관리 | |||
---|---|---|---|---|
1학년 (전공적응 및 진로탐색 과정) | 2학년 (진로설계 과정) | 3학년 (진로설계 과정) | 4학년 (사회진출 준비과정) | |
포인트 |
자기 전공을 기반으로 다양한 경험을 통해 개인 특성 및 전공 관련 진출루트 정보 파악
|
진로목표 설정, 전업기초 능력 심화, 전공지식 기초 심화, 직무관련 기본 경력 관리
|
업종별 목표에 따른 어학능력 향상, 자격증 취득 본격화 복수전공 및 경험 스펙 확보 본격화
|
3년치 구직정보 분석, 희망목표기업 설정 후 맞춤식 경력개발
|
학교생활 |
개론 과목 수강 및 선배와의 교류를 통해 진출 가능 루트 파악 학점관리
|
수강신청의 기술 발휘 및 학점관리 진로 목표에 기반한 복수전공 계획 | 전공학점 관리, 자격증 연계 수강신청,목표 관련 선배 인맥 활용 멘토링 공고화, 취업센터 방문 |
취업설명회, 특강, 캠프, 취업관련 교육참여 확대, 취업센터 방문
|
외국어 |
어학의 자기수준 파악 후 자기만의 어학 공부법 모색
|
토익 등의 응시 시작 교류학생, 해외연수, 자원봉사 등 경험스펙 확대
|
기대 수준의 어학성적 확보를 위한 플랜 수립 | 영어 면접대비 비즈니스 영어회화 주력 |
자격스펙 | 컴퓨터, 한자 포함 공통 자격증 확보 시작 | 구직정보 분석 활용 직무별 구체 요구 역량 파악 및 확보 시작 |
직무 관련 자격증 확보 자격증, 스터디 그룹 활동 기업요구, 실무능력 확보
|
희망 직무 및 업종 고려, 핵심 자격증 확보 노력 |
경험스펙 | 경력개발에 도움되는 동아리, 스터디 그룹, 공모전, 자원봉사 등의 정보 확보 및 대비 |
리더십, 의사소통 등을 키울 경험 확보 스펙으로 활용가능한 다양한 경험 시도
|
직무 관련 아르바이트, 전문적 동아리 활동, 공모전 관련 팀 구성, IPP, 장·단기 인턴십 참가
|
인턴십 및 직업체험 가산점 주는 공모전 집중, 구직기술 관련 동아리 활동
|
경력개발 |
대학생활 적응 커리어 디자인, 다양한 정보 탐색
|
대학생활을 활용한 본격적인 단계별, 수준별 경력개발 계획 수립 및 실행
|
구직 캘린더 구성, 맞춤형 구직기술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