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iculum 교육과정

교과목 개요

전공필수

  • 현대문학의이해(Understanding Modern Korean Literature) 
    문학 일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 소설, 희곡, 비평 등 다양한 장르를 공부한다. 그리고 동서양의 명작들을 읽고 분석하여 감상하는 연습을 통해 작품해석능력, 문학에 대한 안목과 창작에 대한 관심을 높인다. 
  • 고전문학의기초(Found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고전문학의 각 장르를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대표 작품들을 강독, 분석함으로써 고전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며 고전문학이 현대문학과 어떻게 접맥될 수 있는가를 파악한다. 
  • 희곡시나리오선독(Reading Scenario and drama) 
    드라마와 시나리오 대본을 중심으로 드라마에 대한 기본소양을 익히고 이론 및 공연을 통한 확장 가능성에 대해 이해한다. 특히 연극과 영화의 대본인 시나리오와 드라마를 분석하고 대화를 통한 성격구축 및 갈등의 양상을 통해 시청각적 확장을 통한 문학의 변화가능성을 습득한다. 이를 통해 추후 연계되는 드라마 수업의 토대를 공고히 하며 현대적인 미디어와의 문학적 접점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작품의 읽기를 통한 이해와 감상의 폭을 심화시키고 현대문학의 양상에 대해 고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이야기와소설의이해(Understanding of story and novel) 
    개화기 이후 한국의 대표적인 현대소설을 다양한 분석 방법으로 깊이 있게 감상하고 분석함으로써 한국 현대소설에 대한 지식과 이해력을 함양한다. 이러한 교과 목표는 작가와 시대, 그리고 작품의 미학적 특질에 대한 학습을 통해 이루어진다. 
  • 시창작이론과실제(Theory and reality of poetry creation) 
    현대시 명작과 창작이론 텍스트를 바탕으로 시의 발상과 표현, 창작기법 등을 이론과 실제를 통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 21세기 현대 사회에 요구되는 상상력과 창의력, 개성적인 언어표현 능력을 배양한다. 
  • 현대시강독(Reading of Contemporary Poetry) 
    한국 현대시의 다양한 시적 주제와 방법을 정립해 가는 1910년대부터 1945년까지의 대표작을 읽음으로써 한국 현대시의 발생과 전개 과정을 이해하고 시 작품의 감상 능력을 함양한다. 

전공선택

  • 고소설론(Theory of Classical Korean Fiction) 
    고전소설의 개념과 범위, 장르적 성격, 발생 및 전개과정, 판본, 유통방식, 유형·구조·주제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고전소설의 구조적·미학적 특징을 이해하고 현대소설과의 관계를 탐색한다. 
  • 구비문학론(Theory of oral literature) 
    구비문학의 개념, 하위 장르별 특징, 민중의식의 수용양상, 기록문학과의 관계 등을 면밀히 살펴 구비문학의 독자성과 민족문학의 원류로서의 가치를 이해하게 한다. 
  • 국어문법론(Korean Grammar) 
    문법은 말의 규칙이므로, 이 규칙을 알아야 우리말을 바르게 말하고 쓸 수 있다. 그래서 문법을 형태론과 통사론으로 나누어 형태소, 낱말, 문장의 구조와 체계의 특징을 파악하도록 한다. 
  • 현대소설론(Theory of Modern Novel) 
    소설의 본질, 특성은 무엇이며, 그 구조는 어떠한 것인가를 터득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문외한의 수준에서 벗어나 소설에서 인생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해 내려는 진지한 독자가 되게 하고자 한다. 
  • 고전시가론(Classical Korean Poetry) 
    고대시가, 향가, 속요, 경기체가, 시조, 가사 등 고전시가 각 장르들의 생성과정, 형식, 내용, 향유층과 제시방식 등을 체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장르 상호간에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표현양상과 고유한 정서를 파악한다. 
  • 희곡론(Drama Theory) 
    현대 국문학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희곡의 일반적인 구조 원리와 역사성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희곡의 내적구조 및 원리에 대해 이해한다. 특히 희곡 전반에 걸친 이론적 배경과 원리를 학습하여 희곡이 지닌 문학사적 가치를 깨닫는다. 희곡의 특수성 및 연구방법을 발견하고 희곡의 해석과 문학적 가치를 규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고전문학작품론(Stud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고전문학의 두 영역을 이루는 시가문학과 산문문학의 대표 작품들을 시기별, 갈래별로 선별하여 강독, 분석함으로써 고전문학 개별 작품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스스로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 고전산문강독(Readings in Classical Korean Prose) 
    한자 유입 이후부터 19세기 말까지 창작된 고전산문 가운데 국문산문과 한문산문의 대표적인 작품 들을 갈래별로 선별하여 강독함으로써 고전산문에 대한 독해 능력을 향상시키고 고전산문의 내용, 형식, 미학적 특징 등을 스스로 파악할 수 있는 안목을 길러준다. 
  • 시창작연구(Study of Poetry Writing) 
    주어진 시 작품에 대한 분석과 비평을 통해 재해석적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준거로 나와 타인의 작품관과 작품성을 비교 검토한다. 
  • 문학과광고(Literature and Advertisement) 
    문학과 광고는 발상에서 압축적인 표현방법론에 이르기까지 많은 동질성을 지니고 있다. 시와 광고 카피, 이미지와 영상, 광고 속의 문학기법 등의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창의성을 기르고 디지털 문화시대에 부응하는 미디어 문학의 실제를 학습한다. 
  • 출판편집론특강(Theory of Publishing and Editing Special lecture) 
    원고의 수집, 편집, 제작 등 편집출판의 전 과정을 이해하고, 출판문화의 바람직한 방향과 제도적 방안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추도록 한다. 
  • 한국현대작가연구(Study of Korean Modern Writers) 
    주요 현대 소설작가들의 생애와 작품의 관계, 작품의 미학적 특질과 사회와 작품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분석과 이해, 평가가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주요 한국 현대 소설가들의 작품 세계를 기초로 하여 그들 세계를 관통하는 문학사의 흐름을 귀납적으로 밝힌다. 
  • 문화콘텐츠연습(캡스톤디자인)(Culture Contents Practice(Capstone Design)) 
    이 과목은 한국 문학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문화적인 생산물을 기획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중심 학습법에 따라 지역의 문화콘텐츠들을 탐사하고 문제를 발굴하여 창의적인 성과물을 도출하는 작업을 한다. 
  • 문학비평의이론과실제(Theory and Practice of Literary Criticism) 
    문학비평이론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을 바탕으로 문학 작품에 대한 구조적 분석과 비평 쓰기의 과제를 학습하고 그 실제적 연습을 시도함으로써 문학 비평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목표로 한다. 
  • 고전문학사의이해(Understanding Classical Literary History) 
    고전문학 각 장르의 발생, 발전, 변천, 소멸 및 문학담당 층의 변모과정, 형식, 내용적 특성을 개괄적으로 살펴 한국문학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통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 한국근대소설탐구(Study of Modern Korean Novels) 
    1910년대부터 식민지 시기, 해방과 1950년대를 거쳐 1960년대까지 이르는 기간 동안의 대표적인 소설을 다양한 분석 방법으로 깊이 있게 감상하고 분석함으로써 한국 현대소설에 대한 지식과 이해력을 함양한다. 
  • 국어의음운과자료(Phoneme and materials of Korean) 
    국어의 역사적 자료들을 강독함으로써 자료에 담긴 언어 사실들을 분석하고, 나아가서 국어의 흐름을 시대별로 나누어서 그 특징을 알아본다. 
  • 한국근대문학사의이해(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갑오경장 이후부터 해방 이전까지의 우리 한국 문학의 변천 과정을 역사적으로 정리하여 과거 문학의 직접물로서 사적 기록이라 할 수 있는 근대문학의 특징, 전통, 외국 문학과의 관련, 사조의 개략 등을 정확히 이해하고 근대문학의 이론을 체계화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된다. 
  • 스토리텔링연습(Storytelling Practice) 
    창의적 글쓰기로서의 문예창작과 문화 콘텐츠의 기초가 되는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유형, 구성요소와 특성 등을 학습한다. 관찰과 체험, 상상력을 매개로 세계와 사물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 삶에 기초한 창작 능력을 키운다. 
  • 서사텍스트해석과변형(Interpretation and Deformation of Narrative Text) 
    현대 서사에 있어서 서사 간의 융합적 교섭, 변용에 대한 이해 및 창의적 해석을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 학습한다. 주요 학습 내용은 고전 서사와 현대 서사 텍스트의 교섭, 소설과 시, 소설과 영화 등 장르와 양식 간에 이루어지는 텍스트의 창의적 해석과 변용에 대한 학습과 이해 등이다. 이를 통해 기존의 텍스트 이해 수준을 함양하고 새로운 창의적 해석 능력을 키워나간다. 
  • 현대시와주제학(Modern poetry and subject matter) 
    한국 문학의 주요 모티프들을 중심으로 1950년대 이후~현재까지 현대시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문학적 모티프의 시대적 변용을 이해하고 적용하며, 문학과 사회, 역사와의 관계를 능동적으로 해석한다. 
  • 스피치의구성과실제(Realization and composition of speech) 
    한국어문학도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부문은 올바른 글쓰기와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실제 사회에 나아가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사회가 요구하는 자질이자 조건이기도 하다. 자기 소개서를 비롯, 보고서 및 리포트 등 다양한 서사적 글쓰기의 학습 및 연습, 그리고 다양한 방법을 통한 프레젠테이션의 활용을 통해 사회가 요구하는 국문학도로서의 능력을 함양한다. 
  • 한국현대문학사의이해(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해방 이후부터 오늘날까지의 한국 문학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각 시대의 의미를 정리하여, 현대문학의 특징과 작가, 시대적 의미 등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한국문학사의 체계와 흐름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방송구성작가실습(Practical practice of composing a broadcasting and media) 
    방송 현장의 프로그램 구성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방송 현장 실습과 경험을 통해 구성작가 실무능력을 향상시키는 체험적이고 이론적인 바탕을 쌓는 교육이 되도록 한다. 특히 미디어의 속성과 본질에 대해 탐구하고 이를 응용하는 연습을 시도한다. 방송의 환경을 통해 문학과 방송의 연결점을 스스로 발견하고 응용한다. 
  • 현대시의이론(Theory of modern poetry) 
    현대시의 구성요소와 구조에 관한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작품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현대시 비평과 연구 및 창작에 필요한 이론적 체계를 수립한다. 
  • 문학과영상예술(Literature and visual arts) 
    문학과 영상 예술의 상호텍스트성을 기반으로 영상문학, 디지털 스토리텔링, 문예영화, 멜로드라마 등 문학과 교섭하는 영상예술 전반의 특징을 이해하고 공부한다. 
  • 고전작가와작품(Classical writers and works) 
    대표적인 고전문학 작가의 생애와 사상, 학문적 성향, 문학 사상 등을 포괄적으로 살펴 이들의 문학작품을 엄정하고 객관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 그리고 선사시대부터 근대전환기에 이르기까지 우리 선인들이 문학에 관해 어떤 논의를 펼쳤고, 그것이 시대를 따라 어떻게 변모되어 왔는가를 통시적으로 이해하여, 한국문학사에서 문학사상사가 차지하고 있는 위상과 의의를 분명히 이해한다. 
  • 드라마창작과방법(Drama Creation and Method) 
    문학의 한 갈래인 드라마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스스로 창작을 통해 생성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자신이 구축한 드라마의 세계를 만들어본다. 이를 통해 드라마에 대한 활용 및 응용하는 방법과 연습을 통해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드라마 공부를 시도한다. 결국 문학을 통한 구체적인 사회와 세계의 구조를 재구성하고 학생 스스로의 상상력을 확장하고 외부와 소통의 방법을 깨닫는다. 
  • 문학기행과인문여행(Literature Travel and Humanities Travel) 
    취업과 연계된 실용적 글쓰기 능력 함양을 목표로 문학작품의 장소를 찾아 기행문을 쓰는 방법과 인문학적 시각에서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다루는 여행기를 쓰는 방법을 이해하고 공부한다. 
  • 스토리텔링과플롯(산학연계학)(Storytelling and plot) 
    서사문학의 기본이 되는 이야기구조에 대해 탐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사의 전체적인 구조의 틀과 원리를 학습한다. 특히 플롯을 통한 다양한 구성적 변화를 통해 하나의 이야기가 다양하게 확대되는 것을 이해한다. 또한 서사작품의 구조와 내적 원리에 대해 탐구하며, 이를 응용하여 학생 스스로 서사문학에 대해 탐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부산의삶과문학(캡스톤디자인)(Life and Writing in Busan) 
    다양한 양식의 글 읽기를 통해 장소성과 문학의 관계를 파악하고 삶의 현장과 밀착된 글쓰기를 시도함으로써 디지털 시대 문학의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한다.